초기에 하는 고민들

극초기에 해야하는 수십가지의 고민/목표 들이 있는데, 크게는 2개의 고민이 가장 중요한 것 같다.

1) 좋은 팀을 빌드할 수 있는가, 2) MVP를 가장 빠르고 저렴한 방법으로 도달할 수 있는가

장기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좋은 팀과 함께 해야 한다. 좋은 팀은 산업을 이긴다. 하지만 팀 세팅은 사업의 목적이 아닌, 가장 훌륭하고 유일한 도구일 뿐이다. 특히, 요새는 좋은 엔지니어를 합류시키기 위한 비용은 계속 오르고 있다. 시장이 그러하니 어쩔 수 없고, 엔지니어들에게 더 좋은 대우를 해주는 곳들이 많아진다는 것은 좋은 일이지만, 요즘 같은 시기에 괜찮은 엔지니어들은 어느 곳에인가 full timer로 있고, 리스크를 풀로 같이 가져가기에는 좋은 분들에게는 대안들이 많은 것이 사실이라, 처음부터 같이 risk-taking하려는 분들을 찾기가 더 어려운 것 같다. 사람이야 늘 등 따숩고 배부르면 마음 가짐이 달라지는 것이 정상이니까.

더 조심스러운 것은, 팀 빌딩이 되었는데 MVP 검증이 되지 않은 경우이다. 팀이 생기다보면, 팀을 위한 부수적인 일들이 생긴다. MVP 전이라면 우선 팀을 먹여살릴 현실을 해결해야 하고(펀딩), 팀이 같이 일할 공간도 생겨야 하고, 팀이 같이 일하는 방법(문화)에 대한 고민도 생긴다. 때로 먹고사니즘을 고민하기 위해 정부 지원사업에 발을 들였다가 끊지 못하는 이유 중의 하나도 Product Market Fit (PMF)가 끝나지 않았는데 팀을 확장했다 끝내 PMF를 찾지 못한 경우가 많다. 사실 최근에 읽은 First round capital의 초기 스타트업이 할 수 있는 실수에 관한 글 (링크) 를 읽다가 이러한 내용을 잘 정리해 놓은 것 같아 이런 생각을 정리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Hiring ‘smart’ engineering talent that is wrong for your startup.
Spending tons of time thinking through product bells and whistles.

결국 사업에서의 1차적인 목표는 MVP 검증이다. 문제는 정말 PMF를 맞추고, 혹은 점차 맞춰가면서 잘되기까지는 수년이 걸린다. 때로는 뼈를 깍는 노력으로 pivoting을 해야할 수도 있다. 그 오랜 시간을 외롭지 않게, 그리고 머리를 맞대가며 어려운 문제를 풀어나가기 위해 팀과 동료가 있는 것이 아닐까. 초기 멤버란, 그 무엇보다도 아마도 그 고민을 같이할 수 있는 존재일 것이다.

답글 남기기

아래 항목을 채우거나 오른쪽 아이콘 중 하나를 클릭하여 로그 인 하세요:

WordPress.com 로고

WordPress.com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Twitter 사진

Twitter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Facebook 사진

Facebook의 계정을 사용하여 댓글을 남깁니다. 로그아웃 /  변경 )

%s에 연결하는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