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업의 속성이 이 불확실성을 어떻게 하면 잘 견뎌내야 하는 것 중의 하나이다보니, 혼돈의 도가니탕 같은 이런 상황에서 잘 버티는 능력이 정말 중요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러다보니 의도치 않게 어떤 절대적인 존재를 찾는 경우가 많이 생긴다.
사실, 내가 아는 정보는 정말 전체 필요한 정보 중의 일부분이고, 나의 판단은 온전치 않을 수 있다. 게다가 실행력은 없는 리소스를 짜내야 하기 때문에 떨어지는 경우가 다반사이고. 무섭게도, 이 과정을 온전히 이해하고 토닥일 사람이란 팀원이 있다고 하더라도 스스로 감당해야 할 몫이다. 외로움이라는 것을 잘 타지 않는 성격을 갖고 있는 나도 가끔 쓸쓸한 느낌이 든다. 전장에 어쩌다가 먼저 공수부대의 낙하산 조에 편입되어 홀홀단신으로 떨어져서 후방의 보급이 올 때까지 어떻게든 살아남아야 하는 느낌이랄까.
그리고, 비록 아주 독실하진 않지만 이렇게 신앙에 기댈만큼 너무 절실함이 사람에게 주는 스트레스의 강도가 높음을 인생 전반을 통해서 너무 잘 알고 있다. 그래서 이렇게 절실해지고 싶지 않았지만, 그것조차 아마도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닐 것이다.
종종 행운이라는 것은 충분조건이라기보다는 필요조건이라고, 다시 말해 핑거 스냅을 위한 타노스 스톤의 하나처럼 이 불확실성을 지나가 성공이라는 결과를 만들기 위한 하나의 요소 중의 하나라는 이야기를 한다. 나라는 인간은 그저 하루하루를 열심히 살아나갈 뿐이지만, 그 하루하루 내가 내리는 결정이 얼마나 중헌지 모르니까, 그 가운데에서 최선을 선택했길 바라는 수 밖에는 없다. 항상 되새김질하지만, 선택하고 가장 후회를 줄이는 방법은 그저 최선을 다하는 것 뿐이다.